카테고리 없음
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선거, 1위 2위 득표율
감성지기
2025. 6. 3. 19:00

다음은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선거에서 1위와 2위 후보의 득표율을 정리한 표입니다. 이 표는 직선제 부활 이후인 **제13대 대선(1987년)**부터의 결과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.
✅ 역대 대통령선거 1·2위 득표율 비교 (1987년~2022년)
대선
|
연도
|
1위 후보 (정당)
|
득표율
|
2위 후보 (정당)
|
득표율
|
격차
|
13대
|
1987
|
노태우 (민정당)
|
36.6%
|
김영삼 (통일민주당)
|
28.0%
|
8.6%p
|
14대
|
1992
|
김영삼 (민자당)
|
41.96%
|
김대중 (민주당)
|
33.82%
|
8.14%p
|
15대
|
1997
|
김대중 (국민회의)
|
40.27%
|
이회창 (한나라당)
|
38.74%
|
1.53%p
|
16대
|
2002
|
노무현 (새천년민주당)
|
48.91%
|
이회창 (한나라당)
|
46.58%
|
2.33%p
|
17대
|
2007
|
이명박 (한나라당)
|
48.67%
|
정동영 (대통합민주신당)
|
26.14%
|
22.53%p
|
18대
|
2012
|
박근혜 (새누리당)
|
51.55%
|
문재인 (민주통합당)
|
48.02%
|
3.53%p
|
19대
|
2017
|
문재인 (더불어민주당)
|
41.08%
|
홍준표 (자유한국당)
|
24.03%
|
17.05%p
|
20대
|
2022
|
윤석열 (국민의힘)
|
48.56%
|
이재명 (더불어민주당)
|
47.83%
|
0.73%p
|
📌 특징 및 분석
- 가장 큰 격차:
- 2007년 이명박 vs 정동영 → 약 22.5%p 차
- 2017년 문재인 vs 홍준표 → 17.0%p 차
- 가장 작은 격차 (초접전):
- 2022년 윤석열 vs 이재명 → 0.73%p 차
- 1997년 김대중 vs 이회창 → 1.53%p 차
- 과반 득표 당선자:
- 박근혜(2012), 윤석열(2022 제외), 그 외 대부분은 과반 미달
- 단일화가 실패하거나 다자구도가 형성된 선거에서 40% 초반 득표로 당선된 사례 많음
- 투표율과의 관계:
- 투표율이 높다고 꼭 격차가 크지는 않음 (예: 2022년 투표율 77.1%, 격차 0.7%)
반응형